새로운 계정에 홈 디렉토리로 변경 및 name domain사용








0.새로운 계정 만들기

http://kyu-tag.tistory.com/13의 1번을 참고하여서 new user를 생성하면된다.

나 같은 경우는 user1의 홈 디렉토리를 user2의 계정으로 디렉토리를 변경하였다......(목적)





1. 새로운 index.html

새로운 홈 디렉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html을 만들어준다

지금 같은 경우는 새로운 계정에 새로운 dir을 만들고 그 위에 indext.html을 gedit을 통해서 만들어 주었다


새로운 계정은

$ sudo adduser 새로운 이름


그리고 mkdir을 통해서 user2에 www라는 폴더를 만들고

$ sudo mkdir /home/user2/www


gedit을 통해서 새로운 html을 생성했다

$ sudo gedit index.html





2.apache2.conf 수정

먼저 apache2.conf의 내용을 변경한다

$ sudo gedit /etc/apache2/apache2.conf



디렉토리 설정을 원하는 html파일이 있는 폴더로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그 다음 site-available에 있는 000-default.conf의 내용을 수정하면 된다

$ sudo gedit /etc/apache2/sites-availlable/000-default.conf


apache2.conf 수정 처럼 해당 디렉토리로 변경하면된다



3. 이제 localhost에 들어가 보자

/home/user2(해당 계정)/www/html에 info.php()도 생성해서 확인해 보면......


info.php도 생성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localhost도 잘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4. localhost에 named domain을 만들어보자

wow.com의 도메인을 

$ sudo gedit /etc/hosts

에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도메인 창에 wow.com을 치면......

접속이된다........









후기: 처음 실행때는 잘 되다가 2번째대 계속 localhost에서 서버에 대한 접근의 permission이 없다하여서, chmod로 권한 설정 넓히고 구글링하다 결과적으로 고친 오류는 conf에서 수정할때 html을 hmtl의 오타가 있었다. 가끔은 오타의 문제로 프로그램에 오류가 생길 수 있으며 아무리 command 라인을 처도 뜨릴 수 도 있으니 주의하자!!! 







reference:    http://zzaps.tistory.com/242






'O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mn] 하나의 text를 하나의 string으로 받기  (0) 2018.05.25
[Ubuntu] Wordpress 설치  (0) 2018.05.25
[ubuntu] ssh server설치 및 접속  (0) 2018.05.08
[Ubuntu]hostname 변경  (0) 2018.05.07
[Ubuntu] Package tool&Network status  (0) 2018.05.07

ssh Server 설치 & 접속


1. ssh에 접속하게 될 계정을 생성한다

user2를 새로 생성하는 command이다


$ sudo adduser user2


그러면 다음 과 같은 사진을 통해서 user에 대한 비밀번호와 기본 정보들을 입력한다



2. ssh를 설치하자


$ sudo apt-get install ssh

install를 하고 위에서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보면.......

성공

3. VM에서가 아닌 (ubuntu에서 말고 ) host 컴퓨터에서 접속 해보자

1. 먼저 현재의 ubuntu를 종료한다 (그래야 나중에 어덥터를 추가 할 수 있다)

2. VM에서 전역 도구에 들어가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3.머신 도구에 들어가서 해당 vm의 설정에 네트워크 값을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termianl에서 ifconfig를 통해서 새로운 network가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4.다시 ubuntu를 켜고 ifconfig를 통해서 이더넷 IP주소를 가저온다

5. host 컴퓨터에서 ssh를 통해서 해당 IP에 접속한다










reference: 

ssh 설치 및 설명:http://programmingskills.net/archives/315

계정 생성:http://mirwebma.tistory.com/112        https://jongmin92.github.io/2016/09/20/Linux%20&%20Ubuntu/add_user/

호스트 컴퓨터에서 접속: http://hongku.tistory.com/75







hostname변경







kyu-VirtualBox가 hostname이 된다. hostname을 바꾸는 이유는 다른 host 이름을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나는 원래 kyu-VirtualBox의 hostname을 halls로 바꿀 것이다



1. hostname바꾸기

설정 파일에 있는  hostname을 바꾼다

$sudo vi /etc/hostname


수전 전에는 kyu-VirtualBox였지만, 지금은 halls로 수정하였다. 

이때 주의 할 점이, 원래 hostname파일은 read only이기 때문에 sudo를 통해서 변경하여야 한다


2.sudo vi hostname

hosts에 저장 되어있는 기존의 hostname도 변경한다

$sudo vi /etc/hosts


127.0.1.1 kyu-VirtualBox    --> 127.0.1.1 halls



하지만, 위의  설정 값을 변경 하여도 여전히 hostname은 kyu-VirtualBox이다.......


3. reboot하면 끝이다

구글링해서 찾아 보니깐, service hostname restart를 통하면 reboot를 사용하지 않고도 hostname이 변경된것을 알 수 있다는데 계속 "Failed restart hostname.service: Unit hostname.service is masked" 떠서 reboot을 하였다



0. 번외


그냥  $hosnamectl set-hostname 새로운 이름  하고 reboot하면 hostname이 바뀌어 있다. 단, /etc/hostname에는 바뀌어있으나, /etc/hosts에는 변경되어 있지 않다.




reference:

http://dreamlog.tistory.com/374

http://sarghis.com/blog/8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