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kage
apt(advanced Packaging tool)
-apt-get: 팩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이다.
sudo apt-get update: /etc/apt/source.list 로부터 index를 가져와서 update를 한다.
sudo apt-get upgrade: 설치되어 있는 package를 새버전으로 업그래이드 한다
sudo apt-install 패키지이름: package 설치하는 것
sudo apt-get autoremove 패키지이름: 내려받은 패키지 파일 중 쓸모 없는 것들만 모아둔 /var/cache/apt/archives/에서 삭제하여 디시크 공가늘 확보하는 것
sudo apt-get remove패키지이름 :package는 지우나 설정 파일은 지위지 않음(재설치가 가능하다)
sudo apt-get --purge remove 패키지 이름: 설정 파일까지 삭제함
remove와 --purge remove의 차이
-remove하는 경우 net-tool만 remove하지만, --purge remove하는 경우 net-tools와 관련된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apt-cache: 패키지를 검색하기 위한 command line.
apt-cache 패키지: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를 출력한다
apt-cache search 패키지: 패키지와 관련된 패키지의 이름과 설명 출력한다
apt-cache stats: 캐시 현황 확인
sudo(superuser do)
-superuser이라면 모든 권한을 갖고 있는 user로써 모든 command를 실행하고 install까지 할 수 있다.
sudo su: 지속적으로 sudperuser로 command를 실행하는 것
exit:하면 빠져나온다
Network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와 넷마스크의 설정과 및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서 사용되는 command이다
(ubuntun에서 사용하려면 net-tools를 install한 후 사용가능하다)
ping: 네트워크가 살아있는지 확인하는 command이다. 즉, ping왔다리 갔다리 한다는 것은 해당 서버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나의 localhost로 ping을 보낸 것이다
ping -c 횟수 -i 초 단위 간격 도메인 주소
(횟수를 생략하는 경우 무제한으로 가며, 초 단위를 생략하는 경우 1초단위로 설정된다)
-물론 해당 서버에서 pingd을 차단하는 경우 접속은 가능하나 ping이 안된다.
netstat: 네트워크 상태 및 프로토콜 통계를 생성하는 command. 즉, 열려있는 모든 서버와 소켓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소켓: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통신 접속점, 소켓을 통해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reference:
apt-get정리: https://blog.outsider.ne.kr/346
apt-get과 apt-cache 명령어: http://www.myservlab.com/190
ifconfig: https://ko.wikipedia.org/wiki/Ifconfig
ping: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iceworld&logNo=22029684454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netstats: https://thebook.io/006718/part01/ch03/06/04/
소켓의 이해: http://jkkang.net/unix/netprg/chap2/net2_1.html
'O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ssh server설치 및 접속 (0) | 2018.05.08 |
---|---|
[Ubuntu]hostname 변경 (0) | 2018.05.07 |
[Ubuntu]Defaul page (Index.html) modify 1.01 (0) | 2018.04.30 |
[나름해석]JSMN-kyu.version2.0-jsondump.c (0) | 2018.04.09 |
[Command]git 기초2 (0) | 2018.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