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써,  쉽게 생각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웹 혹은 blog를 개설하는 system이다. 블로거를 개설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웹사이트를 관리하고 개설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drupal: php 기반의 오픈소스 CMS이다. 사용자가 아닌 개발자에 초점이 맞춰져서 다른 CMS 다루기 어렵다. 다른 CMS보다 속도가 빠르며(시스템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보안과 검색에서도 최적화 되어있으며, 복잡한 데이터 구조을 기반으로 하는 웹을 만들때도 적합한 툴이다. 하지만 그만큼 진입 장벽이 높다.


joomla!: Mysql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여러가지의 컨텐츠를 다루는 CMS이다. 여러지지의 templet을 지원하며, 풍부한 확장기능도 존재한다



WordPress:  HTML이나 PHP의 코드의 큰 수정 없이 편집하며, 셀프 호스팅 블로거 툴로 시작한 현재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CMS이다. 진입장벽이 많이 낮음. 또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에 여러가지의 plug-in,테마가 존재한다. 트랙백과 핑백이 지원 돠며, SNS와도 쉽게 연동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customizing이 어려우며







(핑백: 다른 블로거의 컨텐츠를 가져와 포스팅 할 때, 양쪽에 모두 링크가 남는 경우

트랙백: 다른 블로거의 컨텐츠를 가져와서 포스팅 할 때, 출처의 블로거에만 링크가 남겨지는 경우)














출처:

wordpress의 장단점: http://blog.helloweb.co.kr/the-pros-and-the-cons-of-the-wordpress-homepage/

두루팔이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inylx&logNo=220535085554&parentCategoryNo=&categoryNo=11&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Learning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 APM]  (0) 2018.05.06

(※설명과 해석은 어디까지나 글쓴이의 주관적 사고와 구글링으로 부터 나왔습니다※)


LAMP





linux: 커널의 일종으로 운영체제를 가리키도 한다. 안드로이도 linux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공개된 소스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개발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Ubuntu: Ubuntu는 남아프리카의 말로 "사람들간의 관계형성에 중점을 둔 윤리사상"이라는 뜻을 가진다. linux 커널 기반의 운영체제이며, open source로 모두에게 배포된 OS이다.




Apache: HTTP서버의 웹서버이다. 최초의 웹서버인 "NCSA HTTPd"기반으로 만들어 젔다. 확장성이 뛰어나서 여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보통 APM (apache(서버)+PHP(언어)+Mysql(DB))을 통해서 연동한다.




PHP: (Hypertext Preprocessor)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HTML을 생성한다(HTML에 포함되어 동작한다).



HTML:웹 페이지를 만든 언어이며, 웹 브라우저에 전달되어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




MySQL:공개 소스의 관계형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reference: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5%84%ED%8C%8C%EC%B9%98%20HTTP%20%EC%84%9C%EB%B2%84

https://namu.wiki/w/PHP?from=php

https://namu.wiki/w/MySQL

https://namu.wiki/w/HTML

https://namu.wiki/w/%EB%A6%AC%EB%88%85%EC%8A%A4?from=Linux

'Learning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S]  (0) 2018.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