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로운 계정 만들기


$ adduser [userName]

-먼저 계정을 간단히 만든다.


2.wordpress설치

2.1    /home/jeon/www에 아래와 같은 command를 통해서 wordpress를 설치한다.....


$wget http://wordpress.org/latest.tar.gz    ->설치 파일 다운로드

$tar -xvzf latest.tar.gz    ->설치파일 압축 해제

2.2 Apache2와 연결 시켜준다(실행권한 부여)


$cd /home/jeon/www

$sudo chown www-data:www-data * -R

$sudo usermod -a -G www-data jeon

$sudo chmod -R 775 /home/jeon/www


2.3 apache2를 제사작한다

$ service apache2 restart



3.해당 계정에 대한 VIrtualHost를 설정해준다

3.1 apache2.conf설정 

$ vim /etc/apache2/apache.conf




(나의 새로운 계정은  jeon이었으며, /home/jeon/www/wordpress에 대하여 virtualhost를 설정했다)

3.2 wordpress.conf생성하기

$cd /etc/apache2/site-available/

$vim wordpress.conf


(설정 값을 다음과 같이 부여한다.)

그리고 /etc/apache2/site-available/에서 $sudo a2ensite wordpress.conf 를 통해서 ../site-enable에도 만들어주어야 virtualhost가 완벽하게 만들어진다.....


3.3 DNS를 설정한다

$vim /etc/hosts



wordpress로 접속될 DNS값을 설정한다





4. Mysql을 통해서 설치한 wordpress와 database를 연결한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mysql에 접속한다

$mysql -u root -r

(mysql설치할때, 설정한 비밀번호로 접속하면 된다)


접속이 되었다면, database를 만들어준다

>create database wordpress;

("wordpress"라는 이름의 database를 만든 것이다)


wordpress의 database를 관리할게 될 계정을 만들어준다

>create user  jeon@localhost;

>set password for jeon@localhost=password("PASSWORD");     

(이때, "PASSWORD"는 정말 jeon@localhost의 비밀번호이기 때문에 기억 할 수있는 비밀번호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제 jeon@localhost에게 wordpress의 database의 권한을 부여한다

>grant all privileges on wordpress.* to jeon@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flush privileges;

>exit


이제 mysql의 사용자에 대한 설정이 반 끝났다.


5. 나머지 반은 이제 /home/jeon/www/wordpress의 wp-config-sample.php에 방금 설정한 user의 값을 삽이하면 된다

(이 예제는 지금, wordpress라는 database에 "jeon"의 비밀번호로 설정된  jeon@localhost가 관리를 하게 하기 이한 설정이다)

 6. 이제 wordpress에 접속하면된다....

Let's go!

(submit해도 계속 wp-config.php이야기하면서 db랑 연결이 안된다고 오류가 뜰때가있다. 즉, wp-config.php에 저장된 값들과 mysql의 db와 정보가 다른 경우를 말한다. 그런경우 mysql에 접속해서 db를 drop(삭제)하고 create(생성)한 다음 계정의 차근차근 다시 생성하면된다)

설정한 db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면 된다....













+ Recent posts